성장클리닉

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성장클리닉

    성장치료

    요즘은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아이들의 평균 신장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그래도 키가 작아서 고민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사춘기 이전에 연간 5cm 이상 자라는 것이 정상입니다. 연간 4cm 미만으로 자라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병원에 가서 저신장과 성장 발달에 대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성장치료

    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여 신장과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성장'이라고 하는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호르몬, 유전인자, 영양상태 등이 있습니다.

    키 순서가 백명중 작은 순서로 백명 중 1등과 2등이면 저신장이라 말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상 저신장(가족성 저신장, 체질성 성장지연, 따라잡기 못한 부당경량아 또는 저체중 출생아)도 있지만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성장장애란 키 성장속도가 점점 줄어들거나 증가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는 대개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성장호르몬결핍증, 쿠싱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질환, 만성콩팥부전 등과 같은 만성질환, 터너증후군, 프라더윌리증후군, 누난증후군 등의 유전성 증후군 뿐만 골격이형성증, 구루병 등이 있으면 키 속도가 점점 줄어듭니다. 또한 남성호르몬 또는 여성호르몬에 조기 노출되면 키 성장속도가 점점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대상

    자녀들의 연간 성장속도가 매년 4cm 이하로 자라고 있다.

    같은 성별 또래들의 표준 평균치에서 3% 이하

    자녀들의 키가 표준신장보다 약 10cm 이상 작다.

    검사 및 치료

    성장예측검사 골연령 검사(뼈나이 검사) 여러 뼈의 개수와 모양을 보고 전문가가 현재 뼈 나이를 판정하는 검사입니다. 먼저 손과 손목의 엑스레이를 찍은 후 13개 부위의 뼈 부위를 성숙 정도에 따라 A~H, 그리고 1까지 아홉 등급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등급을 부여합니다. 이 과정은 뼈 나이를 판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경험이 많은 사람이 해야 합니다. 이렇게 판정된 뼈 나이를 가지고 성인이 되었을 때 최종 신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성장판 검사는 양쪽 무릎 사진을 찍어서 성장판의 개폐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와 동시에 혹시 있을 지 모르는 저신장 원인이 되는 골질환을 확인합니다. 이 검사는 앞으로 성장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 합니다. 뼈나이 검사와 성장판 검사는 모두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성장영양치료 성장치료 이전의 식습관을 파악하여 올바른 식이요법 교육을 통해 성장에 방해가 되는 음식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교육합니다. 실제로 집에서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줍니다. 먹는 것 자체를 잘 먹지 않는 경우 문제가 되는 부분을 찾아내어 입맛을 돋우워주는 방법을 교육시켜 드립니다. 반면 잘 먹는다는 아이의 경우에는 탄수화물/지방의 과잉, 비타민/무기질의 결핍과 같이 영양의 불균형 상태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교정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성장운동치료 성장운동치료는 중력의 영향으로 골반이나 무릎의 성장판이 압박을 많이 받아 성장에 장해가 되는 것을 바로 잡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즉 중력의 부담을 덜어주는 철봉, 줄넘기와 발치가 등의 운동을 하여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의 활성화를 높이는 치료를 합니다.

    신여성병원 | 대표 : 원종건 외 1명 | 사업자등록번호 : 127-91-15505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50(의정부동)

    TEL : 031-879-3800 | FAX : 031-879-3823

    Copyright © Shinwomen's Hospital. All Rights Reserved.